해남 만대산 ~ 금강산
좋지 않은 오전 일기예보를 감안하여 점심 식사 후 산행을 시작하였으나 조금 나은 정도일 뿐 조망이 마땅치 않았다.
1. 곳 : 해남 만대산 ~ 금강산
2. 탐방일시 : 2024.11.04. 12:21 ~ 16:49
3. 날씨 : 대체로 흐림, 미세먼지 보통
4. 코스 : 금강저수지~삼봉~헬기장~447.3 왕복~삼형제바위~440.3~깃대봉~만대산~465.8~금강재~419~쉼터(0.9km) 갈림~헬기장~우정봉삼거리 갈림~주차장(2km) 갈림~금강산 왕복~금강샘 갈림~367.5~우정봉~금강저수지
5. 거리 : 약 11.2 km(램블러 앱)
6. 소요시간 : 4시간 28분
7. 인원 : 4명
▼ 들날머리
▼ 금강 저수지 상류 주차장에 주차 후 제방 쪽으로
▼ 등로 따라 동백나무가 꽤 많이 있어 꽃 필 때 좋을 듯 하고, 팔각정을 지나 임도를 가로지르고
▼ 전망대와 B 코스 갈림을 지나고
▼ 헬기장에서 화원지맥 447.3봉을 왕복하고
※ 화원지맥 (花源枝脈)
전라남도 남서단 진도와 목포 사이에 황해로 길쭉하게 뻗어나간 반도의 끝 동네가 해남군 화원면이다.
이 화원면의 이름을 따 화원반도(花源半島)가 되었고, 땅끝기맥에서 분기하여 반도 끝으로 가는 산줄기는 여타 지맥과 달리 물(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아니라서 땅끝기맥이나 호미, 고흥, 여수처럼 지역의 명칭을 따 ‘화원지맥’이 되었다.
산경표에는 金剛山 玉梅山 日星峰 登山浦가 기재되어 있고 (101頁)
대동여지도에는 金剛山 德隱山 眉岩山 竹山 南郭山 白峙 轅門 日城山 黃原 登山 등이 표기되어 있다.
금강산, 옥매산, 일성산, 죽산산성, 흰재(백치) 등의 이름이 현재도 남아있고, 덕음산(德隱山), 우슬치(于膝峙)는 남쪽 땅끝기맥에 표기 되었다.
금북정맥 서산의 금강산은 그 유래를 찾을 수 없었으나 해남의 금강산은 산경표와 대동여지도에 모두 등재가 된 족보있는 산이다.
땅끝기맥 첨봉(352m)에서 분기하고, 만대산(493m)이 지맥 최고봉으로, 초반 두 구간 거리인 마산면의 국사봉을 내려서면 산인지 들인지 모를 낮은 구릉으로 끊어질 듯 이어지다가 막판에 다시 힘을 내 솟구친 다음, 목포로 들어가는 바닷길의 길목인 목포구등대(木浦口燈臺)에서 달리도(達里島)를 마주보며 바다로 스며든다.(펌)
▼ 고계봉 줌인
▼ 447.3봉 왕복 후 만대산 정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중에 삼형제 바위를 지나고
▼ 화원지맥의 최고봉 만대산 표지석은 소박하고
▼ 금강재
▼ 헬기장
▼ 금강산 왕복 후 주차장 방향으로
▼ 동명이산
▼ 잠시 너덜지대를 지나고
▼ 금강샘은 다음 기회에
▼ 우정봉 방향으로
▼ 주차장 복귀
감사합니다.